전북은 과연 청년 희망이 있는가

새만금일보 | 기사입력 2017/09/24 [16:47]

전북은 과연 청년 희망이 있는가

새만금일보 | 입력 : 2017/09/24 [16:47]

청년 없는 전북, 희망도 없다는 말이 여전하다. 실제로 전북은 청년들이 꿈과 희망을 말하기 힘든 지역이다. 청년의 미래와 지역사회의 역할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청년취업을 위한 국가적 지원도 절실하다. 청년들이 포기하지 않고 스스로 꿈을 키우도록 해야 한다.

청년이 없는 전북은 안 된다. 이대로라면 정말 전북엔 희망이 없다. 청년의 진로, 취업 등 현안에 대한 지역사회의 인식 강화가 중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및 정책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사회적경제, 마을공동체 등 다양한 분야의 지역 기반 지원 체계를 발굴·조직해야 한다.

맞춤형 통합 지원 서비스 제공도 해야 한다. 인구 유출을 막기 위해서는‘청년 일자리 창출’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전북을 넘어 국가 전반에 해당하는 문제다. 전북에도 꿈을 키우는 대학생 청년 창업가들이 있다. 이들은 자신의 가치관과 신념으로 희망을 꿈꾸는 사람들이다.

대졸자 취업이 어려워지고 있는 현실에서 그들만의 가치관으로 자립하고자 하는 대학생 창업가들이다. 이들은 학점, 토익 등 대학생 모두가 고민하는 것을 고집하지 않는다. 본연의 취지를 잃지 않고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만의 아이디어와 패기로 희망을 꿈꾸는 청년 창업가에게 더 나은 전북의 미래를 기대해 본다.

문제는 청년 창업이 처음부터 끝까지 이어지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을 수 있는 주변 환경 조성이 절실하다. 비수도권 가운데서도 최하위 수준의 경제력에 겨우 버티는 전북의 경우 인구 유출이 더욱 심각하다. 지역을 등지는 이들의 이유는 간단하다. 미래에 대한 자아실현을 위해서도 아니고 지역이 싫어서도 아니다.

삶의 가장 기본적 요소인 의식주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일자리가 마땅치 않은 것이다. 교육 격차와 주거 환경에 대한 불만까지 겹치면서 지역에 정을 붙이지 못한다. 전북 도내 지자체는 지역대학 취업 활성화 지원에서부터 은퇴자 재취업, 귀농귀촌 활성화 등의 대책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효과는 미미하다. 알맹이 없는 나열식 보여주기 정책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현실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 마련이 중요하다. 전북은 바깥으로 지역을 옮겨 가는 사람들이 줄지를 않고 있다. 그 중에서도 청년들의 이탈은 특히나 심각한 상황이다.

물론 이 같은 문제는 전북뿐만 아니라 다른 지방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전북의 경우는 유난히도 심각한 수준이다. 2015년의 경우 충북의 20대 총전입과 총전출 등 순이동 인구는 1,206명을 기록했다. 반면 같은 기간에 전북은 5배 이상인 6,174명을 기록했다.

충남의 경우는 대전광역시를 제외하고도 오히려 240명이 늘었다. 전남의 20대 순이동 인구는 5,590명을 기록하며 전북과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전남은 전체 인구가 3,936명이 늘었다. 전북은 전체 인구마저 2,830명이 줄어들었다.

전북은 2001년부터 한 해도 거르지 않고 인구 유출이 지속되어 왔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지난 2009년부터 35세 이상의 중장년층 인구는 순이동 수치에서 마이너스 기록을 벗어났다는 점이다. 35세 이상의 중장년층 인구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전북의 전체 인구가 끊임없이 줄고 있는 것은 20대 청년들의 유출이‘상당히’심각한 수준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2016년 1분기(1월~3월)만 해도 전북은 3,014명의 인구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들 가운데 무려 96%에 해당하는 2,906명이 20대 청년들이었다.

전북 도내 지자체를 중심으로 갈수록 심화되는 인구 유출을 막기 위한 나름의 대책들을 내놓고 있지만 백약이 무효다. 특히 15세 이상 29세 이하의 청년 인구 감소세가 두드러진다. 도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0.4%에서 18.4%로 격감했다.

전북에는 취업을 하려 해도 일자리가 없다. 70년대 이후 산업화가 시작되면서 힘든 농사일 대신 공장에 취직하기 위해 지역을 떠나기 시작했다. 이후 전북의 인구는 거의 매년 하향곡선을 그렸다. 1965년 260여만 명에 달했던 인구가 50년 만에 70여만 명이 줄었다.

드디어 지난 2002년에는 인구 200만 명이 붕괴됐다. 2009년에는 183만명까지 떨어졌다. 그 후 전북도를 비롯해 도내 14개 지자체는 모두 인구 늘리기 정책에 매달리고 있다. 그러나 인구 증대 정책은 사실상 벽에 막힌 상황이다.

전주에 혁신도시가 들어서고 몇몇 기업이 지역에 둥지를 틀며 인구 유입에 대한 기대를 높이긴 했다. 그러나 당초 지자체들이 기대했던 성과엔 크게 미치지 못한다. 수도권 인구가 비정상적으로 느는 반면 전북을 비롯한 거의 모든 비수도권 지자체는 인구 감소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 청년 귀농·귀촌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2015년 전국의 귀농·귀촌 인구는 50여만 명에 달했다. 귀농 인구는 2만599명, 귀촌 인구는 47만5489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귀농·귀촌인 가운데 39세 이하 젊은 층이 50.1%를 차지했다. 이들이 도시를 떠나 농촌으로 향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상당수 사람들은 도시의 각박한 물질주의와 소비주의 문화에 피로감을 호소했다. 이들은 스트레스가 쌓이면 소비하면서 푸는 게 당연한 건 줄 알았다고 한다. 그러나 귀농·귀촌한 사람들은 소비가 아니라 사람과의 관계 형성을 통해 해소한다고 밝힌다.

도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털어놓기도 한다. 일과 휴식의 균형이 깨진 일상 그리고 빽빽한 인구밀도에 지쳤다는 의견도 있다. 돌아오는 농촌이 조금씩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농촌 인구의 절벽을 막을지도 관심이 높아가고 있다.

(정복규 기자)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희망 전북을 열어라 많이 본 기사